기능사/실기 / / 2024. 3. 20. 23:15

웹디자인기능사 실기 총정리(공부방법, 유튜브, 공개문제, 독학, 일정)

반응형

웹디자인기능사는 작업형으로 이루어지며 웹페이지를 기획, 설계, 제작하는 숙련도가 중요한 시험입니다. 코딩을 어느 정도 숙련도가 있다면 난이도는 쉽습니다. 하지만 코딩이 처음이시라면 시간을 조금 두고 시험을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목차

    웹디자인기능사 실기

    2024 시험일정

     

    [2024년] 국가기술자격 시험일정 총정리(기사/산업기사, 기능사, 기능장, 기술사)

    2024년 시행되는 국가기술자격시험 일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시험 회차마다 응시가능한 자격증 종목, 필기, 실기, 일정, 합격자 발표까지 총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정기검정 시험일정 필

    blackssun.com

    시험정보 및 과목

    시험정보 시험시간 실기과목
    작업형 4시간 정도 웹디자인 실무 작업

    합격률

     

    웹디자인기능사 실기 공부방법

    1. 웹디자인 기능사는 독학으로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2. 먼저 유튜브를 아무것도 하지 말고 시청하시길 바랍니다.

    3. 한번 시청하셨다면 공책에 코드와 코드의 설명을 적습니다.

    4. 저는 유튜브를 굉장히 많이 봤고, 3일 동안은 유튜브를 시간이 날 때마다 시청했습니다.

    5. 슬라이드 부분은 무조건 암기해야 합니다.

    6. html파일을 열어 과제물이 제대로 나오는지 확인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7. html파일이 안 열리면 실격입니다.

    8. 아래 정리해 드리는 단축키는 되도록이면 암기하시면 좋습니다.

    웹디자인기능사 실기 일자별 공부방법

    • 1일 차~ 5일 차: 유튜브만 시청하며 눈으로만 과정 익히기
    • 6일 차~ 12일 차: 공책에 코드와 코드의 설명을 암기하고 기초적인 능력 키우기
    • 13일 차~ 20일 차: 코딩의 숙련도를 올리기 위해 계속 연습하며 실수 찾기
    • 21일 차~ 25일 차: 이제 강의를 보지 않고 도면만 보고 오래 걸리더라도 혼자 해보기
    • 26일 차~ 31일 차: 실수가 최대한 없도록 하시고 시간 체크를 하며 시간 단축에 집중하기

    브래킷 단축키 정리

    • ! + tab: DOCTYPE html 문서 자동완성
    • div.slide + tab: 클래스명이 "slide"인 div태크 생성
    • div#slide + tab: 아이디명이 :slide"인 div태크 생성
    • ul> li*4> a{#) + tab: 아래와 같은 코드를 한번 더 생성
    • Ctrl + D: 해당 줄을 복사하여 바로 아래로 복사
    • Ctrl + Shift + /: 커서 위치에서 주석 만들기
    • # 값: 아이디 값 코드를 생성
    • . 값: 클래스 값 코드를 생성
    • . 값*5: 같은 클래스 값 5개 생성
    • head + body: head와 body를 동일한 선상에 생성
    • head > tite: head안에 title 코드 생성

    웹디자인기능사 실기 유튜브 추천 강의

    • 아래 추천 유튜브 바로가기를 클릭하시고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 실기 관련해서 0부터 100까지 다 알려줍니다.

     

     

    웹디자인기능사 소프트웨어 목록표

    소프트웨어 규격 비고
    Dreamweaver - 사용불가
    Photoshop CS3 이상 필수설치
    illustator CS3 이상 필수설치
    EditPlus 3.0 이상/한글 또는 영어 필요시 수험자 지참 설치
    Notepad++ 6.9 이상/한글 또는 영어 필수설치
    Visual Studio Code - 필수설치
    Microsoft Edge - 필수설치
    Google Chrome 81.0 이상 필수설치

     

    웹디자인기능사 공개문제

    • 아래 공개문제 확인하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 큐넷으로 이동하여 다운로드하신 후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